당신은 길을 가던 중 의식 없는 사람을 발견했다. 어떻게 할 것인가?

쓰러진 사람은 누군가의 소중한 가족, 친구, 연인, 아이일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활용하라고 만든 미국 심장 협회(AHA)에서 만든 가이드라인이 있다.

 

간호사 일을 하면 BLS(Basic Life Support) Provider 자격증을 취득한다. 요즘은 군,경,공, 일반인들도 많이 취득한다.

 

의료환경에서는 ACLS Provider(Advanced Cardiovascular Life Support) 가 필요하지만, 필수는 아니라서 BLS provider ~ instructor 선에서 마무리한다.

 

처음 배우면 내용이 꽤 많아서 어려운데, 순서도로 언젠가 그려보고 싶었다.

 

하지만, 그동안 나는 순서도를 잘 그릴 줄 몰랐고, 오늘 이동녘 교수님에게 아주 잘 배웠다. 또한 시연님이 작성해주신 순서도를 보고 참고하여 추가 적용했다.

 

까먹기 전에 직접 시간을 들여 그려보았다.

 

정확히 교육자료를 보고 한게 아니고, 머리 속에 있는 내용대로 순서도를 짜보았다.

 

혹시나 관심이나 기회가 있으면, 교육을 들어보길 권한다. 뇌 세포는 엄청난 산소를 쓰는데, 산소가 끊기면 5분 이후부턴 바로 죽어간다.

 

그리고 그 손상은 돌이킬 수 없다.

 

교육을 들으면, 직접 정확한 내용과 실습을 진행해볼 수 있으니 "만에 하나"라도 알고 있다면 주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개별학습.

 

리스트를 구현하는게 많이 어려웠다..

 

오늘도 여러 방법을 시도했다. 아주 오래 전에 유튜브에서 C로 스택 만드는걸 본 적 있어서, 기억을 더듬어 따라해보았다.

 

여기 이후로 더 진도를 나가지 못한 것은,,,, structure 에 대한 나의 무지 때문이다.

 

자바, 파이썬에선 새로운 객체 선언하는거야 일도 아니지만,

 

C로 와서 막상 부딪히니, 두번째 structure 구조를 어떻게 만들어야할지.. 머리가 아득해졌다.

 

현재는 list 한개 만들면 그걸로 계속 돌려쓸 수 밖에 없다.. ㅠㅠ

 

추후 알게 되면 정리해서 올리는걸로 하겠다.

 

+ Recent posts